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야구/그립5

야구 그립 배우기 제5화 금지된 구종 쓰면 X 야구공에 이물질을 바르거나 흠집 등을 내어 투구하는 일. 과거에는 하나의 구질로 인정받기도 했으나 현대야구에서는 규정상 송진가루를 제외하고 일체 금지되어 있다.보통 공의 변화는 실밥의 회전과 연관이 있는데, 위와 같이 공에 뭔가를 바르거나 흠집을 내거나, 모양이 변형된 경우에는 공 자체와는 무관한 외부적인 요소로 인한 새로운 변화가 동반된다. 이로 인해 아리랑 볼을 뺨치는 수준의 해괴한 공을 던질 수 있게 되며, 이 때문에 투타의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악의 축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2017 공식 야구규칙 8조 2항에 따르면 투수는 (1) 투수판을 둘러싼 18피트의 둥근 원 안에서 투구하는 맨손을 입 또는 입술에 대는 행위, (2) 공에 이물질을 묻히는 것, (3) 공, 손 또는 글러브에 침을 바르는 것, .. 2021. 2. 20.
야구 그립 배우기 제4화 브레이킹볼 ex.슬라이더... 브레이킹볼(breaking ball)는 오른손 투수가 던졌을 때 오른손타자의 바깥쪽 아웃코스로 휘어지고 왼손타자 입장에서는 몸쪽 인코스로 공이 휘는 구종을 통틀어서 이르는 말이고 그 중에는 컷패스트볼, 슬라이더, 슬러브, 커브가 있다.이러한 구종의 그립을 잡는 법은 각각 다릅니다.이제 브레이킹볼이 어떤 것인지 알았으니까, 잡는 법을 배우러가시죠!! 컷패스트볼 그립부터 설명하자면 이 구종은 패스트볼 매우 비슷 한데요, 패스트볼과 같이 직선으로 홈플레이트까지 날라와서 스트라이크존 부근 에서 횡 방향으로 날카롭게 움직이는 구종입니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커터, 커트볼(커브볼이랑은 다름)이 이 구종에 속합니다. 날라가는 속도는 슬라이드볼보다는 빠르고 휘어지는 궤적을 보면 슬라이더보다는 덜 휜다.그러니 컷 패스트.. 2021. 2. 19.
야구 그립 배우기 제3화 투심, 포심 패스트볼 야구는 투수, 타자그리고 야수들이 투(구)타(격)를 하고 수비하는 종목입니다. 무엇보다도 투수들의 영향력이 굉장히 큰데요. 만약에 투수가 홈런이나 안타를 맞고 점수를 한도 끝도없이 내준다면 타자들은 힘들 수 밖에 없습니다. 그만 큼 야구는 투수노름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투수들이 쓰는 구종, 그립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려고 하는 데요. 첫번째, 투수들이 즐겨쓰는 구종, 투수들이 투구하면 60%이상이 이 구종을 사용하는 데요바로 포심과 투심 패스트볼(직구)입니다. 박찬호 투심, 포심 그립 구종의 이름은 포심과 투심이고 위와같이 이 구종의 그립은 검지와 중지를 브이자로 만들어서 실밥에 붙여서 던집니다.(선수들마다 조금씩 잡는 방법이 틀립니다.) 이때 어떤 실밥에 손가락을 걸치느냐에 따라 투심과 .. 2021. 2. 18.
야구 그립 배우기 제2화 변형 패스트볼 ex.스플릿터 변형 패스트볼(스플리터) 변형 패스트볼이란 포심 패스트볼과 던지는 자세는 같되 공을 쥐는 방법에 약간의 변화를 준 것으로 컷 패스트볼(커터)과 스플릿 핑거 패스트볼(스플리터)이 대표적이다. 던지는 자세는 포심 패스트볼과 비슷하나 그립의 차이에 의해 공의 움직임이 포심의 그것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타자들이 대처하기 쉽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1. 컷 패스트볼 컷 패스트볼은 주로 커터라고 불리며 뉴욕 양키스의 마리아노 리베라가 가장 잘 구사하는 구종이다. 컷 패스트볼의 특징은 타자가 배트를 휘두르려는 순간부터 공이 움직이기 시작한다는 점인데 타자의 예상에 비해 공이 좌우로 조금씩 더 움직이기 때문에 배트의 중심에 공을 맞히기가 쉽지 않다. 이 구종은 처음으로 완벽하게 구사한 선수가 마리아노 리베라일 정도로.. 2021. 2. 18.
반응형